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

2003년 5월 한국공룡연구센터(소장 허민) 발굴팀이 
전남 보성군 특량면 비봉리 비봉공룡알화석지에서 일부 화석을 발견하면서 
그 존재를 알렸다.

이후 약 7년간의 발굴, 연구, 복원작업 끝에 지난 2010년 11월 1일 전남대

 '한국공룡연구센터'에서 첫 공개되었다.

약 8500만년 전인 백악기 후기 한반도에 살았으며 원시 형질을 지닌 

소형 조각류 무리인 '힙실로포돈'류 공룡이다.

주식은 땅에서 자라는 식물로 추정되며, 

약 2.4m의 길이(4족 보행시 성인 허리 높이)로
'힙실로포돈'류 공룡들의 형태 및 해부학 특성을 보임과 동시에 
새로운 특성도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새로 나타나는 특성이다.

어깨뼈와 윗팔뼈가 기존의 '힙실로포돈'류 공룡들에 비해 매우 크고 튼튼하게 발달돼 있다.

또 종아리뼈와 허벅다리뼈의 길이 비율이 비슷해 빠르게 뛰어다니던 

다른 '힙실로포돈'류와 달리 주로 4족 보행을 하고 
상황에 따라 2족 보행을 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목뼈가 길게 연장된 긴 목을 가지고 있으며, 

꼬리뼈가 골화된 인대의 흔적이 없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유연한 꼬리를 갖추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발달된 앞다리와 발견 장소의 퇴적층을 분석했을 때 

땅을 파는 습성을 지녔을 가능성이 커 
둥지를 틀면서 알을 낳았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힙실로포돈'류

쥬라기 초중기에 유라시아에서 기원을 했다고 추정되며 백악기 말까지 

북반구와 남반구 대륙에 걸쳐 넓은 지역에 분포를 했다.

주로 무리를 이루어 현생 사슴과 영양하고 생활 습성이 유사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들은 시기를 거듭하면서 크게 형태 변화없이 주어진 경에 

뛰어난 적응력을 갖추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2008년 화성 전곡항 근처에서 이융남 박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에 의해 
발견되었다.
지난 2010년 12월 7일에 복원도, 2011년 11월 18일에 복제모형이 

화성시 '공룡알 화석지 방문자 센터'에서 공개되었다.

길이는 약 2.4m 정도이며, 약 1억 1천만년 전 중생대 전기 백악기 때 한반도에 살았다.

*다음은 주요 특징 및 특이 사항이다.

초식 공룡의 특징인 첫 번째 발가락이 길다.
원시 뿔공룡에 속하며, 꼬리뼈에 척추뼈보다 5배나 더 긴 신경돌기와 

독특한 모양을 가진 복사뼈가 있다.
높고 납작한 꼬리는 물 속에서 헤엄치는데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리 골반과 꼬리 부분이 완전하게 붙어있는 한국 최초의 공룡 화석이다.
한반도에서 최초로 발견된 뿔공룡이며,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종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족보행에서 출발해 완전한 사족보행으로 진화과정을 거친 

뿔공룡의 걸음걸이 진화과정을 밝히는데 중요한 단초가 되었다.

KOREANOSAURUS BOSEONGENSIS

Koreanosaurus (ornithopod)

Koreanosaurus (meaning "Korean lizard") is a genus of ornithopod dinosaur.
In May 2003 three fossils of Koreanosaurus were found in the Late Cretaceous-age Seonso Conglomerate from the southern coast of the Bi-bong Dinosaur Fossil Findspot, Boseong, Korean Peninsula : the holotype KDRC-BB2,
a partial skeleton lacking the skull, and the paratypes KDRC-BB1 and KDRC-BB3.
The type species is Koreanosaurus boseongensis, after its discovery locality (Boseong site.
The type species was initially named and described in a master's thesis by Lee Dae-Gil in 2008, and was officially published by Min Huh, Dae-Gil Lee, Jung-Kyun Kim, Jong-Deock Lim and Pascal Godefroit in 2011.

Koreanosaurus was considered to be a basal member of the Ornithopoda by the authors, forming a clade with Zephyrosaurus schaffi, Orodromeus makelai and Oryctodromeus cubicularis from which they deduced a burrowing lifestyle.
Han et al. found it plausible that Koreanosaurus might be a member of Jeholosauridae or closely related to it.

-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C-BY-SA - Wikipedia Url

- Bibong Dinosaurs Egg Fossil Discovery Location - Go!

KOREACERATOPS HWASEONGENSIS

Koreaceratops

Koreaceratops is a genus of basal ceratopsian dinosaur discovered in Albian-age Lower Cretaceous rocks of South Korea. It is based on KIGAM VP 200801, an articulated series of 36 caudal vertebrae associated with partial hind limbs and ischia. This specimen was found in a sandstone block that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Tando dam at Hwaseong City; the way the specimen is cut off suggests that more of it was present before quarrying. The dam was built in 1994, and the bones were first brought to the attention of paleontologists in 2008, after a public official noticed them. The specimen probably came from the lower Tando beds. The upper part of this informally named formation dates to 103 ± 0.5 million years ago. Koreaceratops was described by Yuong-Nam Lee and colleagues in 2011. The genus name is a combination of "Korea" and the Greek κερας/keras meaning 'horn' and οψις/opsis meaning 'face'. The type species is K. hwaseongensis, named after Hwaseong City.

Koreaceratops is notable for the tall neural spines on its caudal vertebrae, and for the structure of its astragalus. In some of the distal caudal vertebrae, the neural spines are over five times the height of the vertebral centra to which they attach. Lee et al. noted that several other ceratopsians also had tall neural spines on their caudals. As this trait appears in several branches of ceratopsians, Lee et al. postulated that the feature was independently evolved, perhaps as an adaptation for swimming. Lee et al. performed a phylogenetic analysis and found Koreaceratops to be positioned between Archaeoceratops and more derived ceratopsians.

-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C-BY-SA - Wikipedia Url

- Hwaseong Fossilized Dinosaur Egg Site - Go!